Freezed에서 제네릭 사용하기

API 응답 모델링에서 사용하면 좋은 Freezed 제네릭 테크닉에 대해 소개합니다.읽는데 5분 정도 걸려요.

기존 JsonSerializable로 아래와 같은 응답을 모델링 하였습니다.

json
{
  'code': 1000,
  'message': '성공',
  'data': { ... }
}

이런 식으로, code, message(선택) 가 반드시 포함된 응답이 오는 상황이어서
code, message를 갖고있는 ResModel,
그리고 ResModel을 상속받아 만든 DataModel 이런식으로 구현하였습니다.

하지만, JsonSerializable로 구현했던 모델들을 Freezed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바로, Freezed는 상속이 불가능하다는 점..!

그래서 해결책을 몰색하던 중 ResModel에 제네릭 타입의 data 멤버를 추가하면 어떤가 하는 조언을 받았습니다.

좋은 해결책인거 같기도 하고, 마침 Freezed에 대해 딥하게 알아보고 공부할 겸 이 해결책을 적용해보기로 하였습니다.

구현

DataModel

우선 Data에 해당하는 객체를 모델링 하였습니다.

diary_model.dart
part 'diary_model.freezed.dart';
part 'diary_model.g.dart';


class DiaryModel with _$DiaryModel {
  factory DiaryModel({
    (name: 'diaryid') int? id,
    (name: 'dcontent') String? content,
    (name: 'dtime') DateTime? time,
    (name: 'dtag') EEmotion? emotion,
    (name: 'userid') int? userId,
    (
      name: 'openable',
      fromJson: openableFromJson,
      toJson: openableToJson,
    )
    bool? isOpen,
  }) = _DiaryModel;

  factory DiaryModel.fromJson(Map<String, dynamic> json) =>
      _$DiaryModelFromJson(json);
}

@JsonKey 어노테이션을 통해 API에서 전달하는 key와 모델링의 변수명을 변환했습니다.
또한, openable key의 value가 0 or 1 로 표현하는 bool 형식이라
0 → false, 1 → true 로 변환하는 함수(openableFromJson/ToJson)를 적용하였습니다.

ResModel

그 다음 공통 응답 모델을 맡을 ResModel을 제네릭으로 모델링합니다.

res_model.dart
part 'res_model.freezed.dart';
part 'res_model.g.dart';

(genericArgumentFactories: true)
class ResModel<T> with _$ResModel<T> {
  factory ResModel({
    required int code,
    String? message,
    T? data,
  }) = _ResModel;

  factory ResModel.fromJson(
    Map<String, dynamic> json,
    T Function(dynamic json) fromJsonT,
  ) =>
      _$ResModelFromJson<T>(json, fromJsonT);
}

여기서 눈여겨 봐야 할 점은 fromJson의 인자로 fromJsonT 함수를 전달한다는 것입니다.

보통은 fromJson에 json 만 인자로 넘기는데, 제네릭을 포함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제네릭에 해당하는 객체의 직렬화, 역직렬화 로직을 프로그램은 모른다는 것이죠.

따라서 해당 로직을 대신 수행할 fromJsonT 함수를 인자로 추가로 받는 것입니다.
(toJsonT는 freezed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마찬가지로 toJsonT를 인자로 받습니다.)

이를 build_runner가 알도록 하기 위해 @freezed 어노테이션 대신 @Freezed 를 사용하며,
genericArgumentFactories을 true로 설정합니다.

fromJson / toJson

이제 실제로 사용도 해봐야겠죠?

diray_repository.dart
var resModel = ResModel<DiaryModel>.fromJson(
  res.data,
  (json) => DiaryModel.fromJson(json),
);

첫 번째 인자로 API의 응답으로 온 json 이 들어갑니다.
두 번째 인자로는 제네릭 타입의 역직렬화를 수행하는 함수가 들어가는데, 제네릭이 DiaryModel 이므로, DiaryModel.fromJson를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json 인자에는 data의 value가 전달됩니다.)

toJson도 살펴봅시다.

diray_repository.dart
var reqJson = resModel.toJson(
  (model) => DiaryModel.fromJson(model),
);

인자로는 제네릭 타입의 직렬화를 수행하는 함수가 들어가는데, 제네릭이 DiaryModel 이므로, DiaryModel.toJson를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model 인자에는 diaryModel의 인스턴스가 전달됩니다.)

결과물

data가 없는 경우, 또는 필요 없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fromJs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uth_interceptor.dart
var res = ResModel.fromJson(response.data, (json) => null);
if (res.code == 2000) {
  AuthBlocSingleton.bloc.add(AuthSignoutEvent());
}
...

또한, data가 있는 경우, 또는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fromJs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ray_repository.dart
Dio dio = Dio();
dio.interceptors.add(AuthInterceptor());
var res = await dio.get(
  '/diary',
  queryParameters: {
    'emotion': emotion.key,
  },
  data: {
    'page': page,
  },
);

var resModel = ResModel<DiaryModel>.fromJson(
  res.data,
  (json) => DiaryModel.fromJson(json),
);

코드의 재사용성을 최대로 하고, 로직간의 의존성을 최소화 하도록 구현해본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