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y Pattern
Factory 디자인 패턴의 필요성과 그 구조에 대해 알아봅니다.읽는데 8분 정도 걸려요.필요성
이번엔 피자가게로 예시를 들어보자.
피자 가게에서 피자의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public class PizzaStore {
...
Pizza orderPizza(String tpye) {
Pizza pizza;
if (type.equals("cheese")) {
pizza = new CheesePizza();
} else if (type.equals("greek")) {
pizza = new GreekPizza();
}
pizza.prepare();
pizza.bake();
pizza.cut();
pizza.box();
return pizza;
}
}
느낌만 보면 피자의 종류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경우 orderPizza 메서드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시가 적절하지 않은 느낌이 없지않아 있지만, orderPizza의 직접적인 수정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 이유는 객체의 생성과 반복되는 메서드 호출 부분이 같은 함수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자의 생성부(constructor)를 별도의 factory로 관리하는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Factory Pattern
이제 객체의 생성부를 factory로 캡슐화를 해보자.
public class PizzaFactory {
public Pizza createPizza(String type) {
Pizza pizza;
if (type.equals("cheese")) {
pizza = new CheesePizza();
} else if (type.equals("greek")) {
pizza = new GreekPizza();
}
return pizza;
}
}
이제 이를 위의 피자가게에 적용한다면 코드는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public class PizzaStore {
+ PizzaFactory factory;
public PizzaStore(Pizzafactory factory) {
+ this.factory = factory;
}
public Pizza orderPizza(String type) {
Pizza pizza;
+ pizza = factory.createPizza(type);
- if (type.equals("cheese")) {
- pizza = new CheesePizza();
- } else if (type.equals("greek")) {
- pizza = new GreekPizza();
- }
pizza.prepare();
pizza.bake();
pizza.cut();
pizza.box();
return pizza;
}
}
이제 코드가 객체의 생성부와 반복되는 메서드의 호출 부분이 분리가 되었다.
따라서 피자의 종류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PizzaStore의 코드를 수정해야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렇게 하면 또 장점이 PizzaFactory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도 생성할 수 있는 객체의 종류를 런타임에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다.
factory 패턴을 이렇게 외부 클래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내부의 메서드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아래 코드를 살펴보자.
public abstract class PizzaStore {
public Pizza orderPizza(String type) {
Pizza pizza;
pizza = createPizza(type);
...
return pizza;
}
abstract Pizza createPizza(String type);
}
위에서는 PizzaFactory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객체를 다르게 할 수 있었다.
이제는 이 abstract class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객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public class NYPizzaStore extends PizzaStore {
Pizza createPizza(String type) {
if (type.equals("cheese")) {
return new NYStyleCheesePizza();
} else if (type.equals("greek")) {
new NYStyleGreekPizza();
}
return null;
}
}
참고로 모든 blahPizza는 Pizza 클래스를 상속받는 식으로 구현해야 하고, Pizza 클래스는 abstract로 만들어서 인스턴스로 만들 수 없게 해야한다.
정리하자면, Factory pattern은 객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createPizza)를 정의할 때
어떤 클래스(blahPizza)를 만들어야 하는지는 상위 클래스(PizzaStore)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
하위 클래스(NYPizzaStore)에게 일임하는 방식의 디자인 패턴을 의미한다.
참고로 위의 코드는 종속 역전 원칙을 준수한 코드인데, 이게 뭐냐하면
가능하면 추상 클래스에 대해 종속성을 갖고, 구현 클래스에 대해서는 종속성을 피해야 한다는 디자인 원칙이다.
즉, PizzaStore에서는 객체를 CheesePizza, GreekPizza 로 관리하는 것이 아닌, 오직 Pizza 인터페이스로만 관리하는 것이 좋다.
Abstract Factory Pattern
그렇다면 NYPizza와 ChicagoPizza 모두 같은 종류의 피자를 판매한다면?
사실살 들어가는 재료가 다를 뿐, 모두 CheesePizza, PepperoniPizza 등 같은 종류의 파지를 판매할 뿐인데,
각각 다른 종류의 피자 클래스로 구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생길 것이다.
생각해보면, 각 피자는 제조 방식은 같지만, 들어가는 재료가 다를 뿐이다.
따라서 재료의 생성도 factory pattern으로 만든다면?
public interface PizzaIngredientFactory {
public Dough createDough();
public Sauce createSauce();
public Cheese createCheese();
public Veggies[] createVeggies();
public Pepperoni createPepperoni();
public Clame createClame();
}
우선 각 지역의 피자에 들어갈 재료를 factory pattern으로 만들기에 앞서,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묶어주기 위해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만들어준다.
public class NYPizzaIngredientFactory implements PizzaIngredientFactory {
public Dough createDough() {
return new ThinCrustDough();
}
public Sauce createSauce() {
return new MarinaraSauce();
}
...
}
이후에 각 지역에 맞는 재료 클래스를 반환하는 클래스를 구현해준다.
따라서 각 지역에 피자 매장에 그 지역에 맞는 재료 factory를 종속시켜 준다면,
같은 종류의 피자를 만든다고 할지라도, 재료가 다르게 들어가기 떄문에 지역 특색에 맞는 피자가 만들어 질 것이다.
public abstract class Pizza {
String name;
Dough dough;
Sauce sauce;
Veggies veggies[];
Cheese cheese;
Pepperoni pepperoni;
Clams clam;
abstract void prepare();
void bake() {
System.out.println(“Bake for 25 minutes at 350”);
}
...
}
public class CheesePizza extends Pizza {
PizzaIngredientFactory ingredientFactory;
public CheesePizza(PizzaIngredientFactory ingredientFactory) {
this.ingredientFactory = ingredientFactory;
}
void prepare() {
System.out.println(“Preparing “ + name);
dough = ingredientFactory.createDough();
sauce = ingredientFactory.createSauce();
cheese = ingredientFactory.createCheese();
}
}
그렇기에 피자를 만들 때는 각 재료를 factory로 부터 가져오도록 구현해야 한다.
public class NYPizzaStore extends PizzaStore {
...
protected Pizza createPizza(String item) {
Pizza pizza = null;
PizzaIngredientFactory ingredientFactory =
new NYPizzaIngredientFactory();
if (item.equals(“cheese”)) {
pizza = new CheesePizza(ingredientFactory);
pizza.setName(“New York Style Cheese Pizza”);
} else if (item.equals(“veggie”)) {
pizza = new VeggiePizza(ingredientFactory);
pizza.setName(“New York Style Veggie Pizza”);
} else if (item.equals(“clam”)) {
pizza = new ClamPizza(ingredientFactory);
pizza.setName(“New York Style Clam Pizza”);
} else if (item.equals(“pepperoni”)) {
pizza = new PepperoniPizza(ingredientFactory);
pizza.setName(“New York Style Pepperoni Pizza”);
}
return pizza;
}
}
마지막으로 각 지역에 피자 매장에 그 지역에 맞는 재료 factory를 종속시켜 주면,
같은 종류의 피자를 만든다고 할지라도, 재료가 다르게 들어가기 떄문에 지역 특색에 맞는 피자가 만들어 질 것이다.
이렇게 구현 클래스(PizzaFactory)를 반환하는 것이 아닌, 클래스 생성 후 인터페이스(NYPizzaIngredientFactory)를 반환하는 디자인 패턴을 Abstract Factory Pattern 라고 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factory(NYPizzaStore)의 factory(NYPizzaIngredientFactory) 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