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지식 표현

불확실한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읽는데 5분 정도 걸려요.

인과성이 약하거나, 연관성이 애매하거나, '얼마나?'에 해당하는 정도가 모호한 문장을 정량화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확신도 (Certainty factor)

규칙과 사실의 신뢰정도를 [-1, 1] 구간의 값으로 표현합니다.

확신도대응되는 단어
−1.0절대 아니다 (definitely not)
−0.8거의 확실히 아니다 (almost certainly not)
−0.6아마 아니 것이다 (probably not)
−0.4어쩌면 아닐 것이다 (maybe not)
−0.2 ~ 0.2모르겠다 (unknown)
0.4어쩌면 그럴 것이다 (maybe)
0.6아마 그럴 것이다 (probably)
0.8거의 확실하다 (almost certainly)
1.0확실하다 (definitely)

추론결과의 확신도

추론에 대한 확신도는 각 명제에 대한 확신도를 계산하여 도출해야 합니다.

  • IF A THEN B ({AB,  A}B\{A \rightarrow B, \; A\} \vdash B)
    기본적으로 정형식들의 확신도를 곱하는 방식으로 구합니다.

    cf(B)=cf(A)×cf(AB)cf(B) = cf(A) \times cf(A \rightarrow B)

  • IF A and B THEN C ({ABC,  A,  B}C\{A \wedge B \rightarrow C, \; A, \; B\} \vdash C)
    and의 경우 조건부에 해당하는 정형식의 확신도 중 작은 값을 고릅니다.

    cf(C)=min{cf(A),cf(B)}×cf(ABC)cf(C) = min\{cf(A), cf(B)\} \times cf(A \wedge B \rightarrow C)

  • IF A or B THEN C ({ABC,  A,  B}C\{A \vee B \rightarrow C, \; A, \; B\} \vdash C)
    or의 경우 조건부에 해당하는 정형식의 확신도 중 큰 값을 고릅니다.

    cf(C)=max{cf(A),cf(B)}×cf(ABC)cf(C) = max\{cf(A), cf(B)\} \times cf(A \vee B \rightarrow C)

아래는 예시입니다.

231022-192422

만약, 여러 사실에 의해 동일한 사실을 추론하는 경우 추론 결과는 같지만, 확신도는 다르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확신도를 하나로 통합하는게 좋습니다.

231022-192640


확률 (Probability)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결합 확률

사건 A,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을 가리키며, 아래와 같이 수식화 할 수 있습니다.

A: 첫 번째 주사위가 짝수
B: 두 번째 주사위가 홀수

P(A,B)=P(AB)=P(AB)P(A,B) = P(A \cap B) = P(AB)
=1/2×1/2=0.25= 1/2 \times 1/2 = 0.25

조건부 확률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가리키며, 아래와 같이 수식화 할 수 있습니다.

A: 두 주사위의 합이 8
B: 첫 번째 주사위가 3

P(AB)=P(A,B)P(B)P(A|B) = \frac{P(A,B)}{P(B)}
=1/361/6=1/6= \frac{1/36}{1/6} = 1/6

베이즈 정리에 의해 조건부 확률의 조건부를 변형할 수 있습니다.

P(AB)=P(BA)P(A)P(B)P(A|B) = \frac{P(B|A)P(A)}{P(B)}


퍼지 이론 (Fuzzy theory)

기존 집합론과 다르게 퍼지 이론은 0/1의 이분법적으로 분류하지 않고, 0~1로 모호하게(어느정도 포함되게) 구분함.
즉, 어느 정도(degree)의 문제는 퍼지 집합을 도입하여 해결.

퍼지 집합

원소가 모임(collection)에 어느 정도 속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해당 집합은 부분적으로 참이 됨.
소속정도는 [0, 1] 범위의 실수값으로 표현함.

작다, 평균이다, 크다의 표현을 아래와 같이 다르게 할 수 있음.

231022-194330

퍼지 규칙

소속함수로 표현된 언어항을 표함하는 규칙.

IF service = 나쁘다 OR food = 별로이다 THEN tip = 적다
IF service = 보통이다 THEN tip = 보통이다
IF service = 훌륭하다 OR food = 맛있다 THEN tip = 많다

언어항
'나쁘다', '맛있다', '많다'와 같은 자연어에 해당하는 항으로 소속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231022-194851

퍼지 추론

소속함수로 표현돤 언어항을 사용하는 퍼지 규칙들의 모음으로 수치적인 추론이 가능해진다.

231022-195645

추론된 영역의 무게중심을 결과로 사용하면 비퍼지화가 가능하다.